알루미늄 아노다이징 (anodizing)

알루미늄 표면 처리 방식은 : 양극산화, 전해연마, 부동태화, 봉공처리, 화학피막처리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아노다이징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노다이징 어원은?

 

양극 (anode) 과 산화 (Oxidization) 의 합성어로 알루미늄이 공기중의 산소와 접촉하면서 금속표면에 아주 얇은 Al203 피막이 덮이는데 이것이산화 알루미늄으로 부식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아노다이징은 이런 현상을 인공적 금속표면에 일정한 전해액을 만들어 전기 및 화학적 작용으로 양극산화 피막을 형성시켜 금속표면에 각종 기능성을 만들어 낸다.

아노다징 방법은?

알루미늄을 전해액에 투하하고 직류전원을 통하면 양극에 발생하는 산소에 의해서 알루미늄 소재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형성된다.

다양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해액의 조성, 농도, 첨가제, 처리온도, 전해조건(전압, 전류)에 의해 당양한 제품으로 재 탄생한다.

아노다징의 기능성은 ?

내마모성, 내식성, 장식성, 우수한 전기절연성 그리고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낼 수 있어, 각종 전자제품의 외장으로 환영받고 있다. 


 

알루미늄 역사 및 어원

알루미늄 역사 및 어원

알루미늄 어원

라틴어 alumen(alum)에서 유래 한국어로
명반
(明礬)이라하며 당시 지혈제로 사용되던 물질이라한다.

 

알루미늄 역사

1825덴마크
화학자
한스외른스테드에 의해 최초 발견된 원소로 Si 다음가는 지각 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금속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원소 질량의 8.2%나 차지할 만큼 다량이다.

1825년 처음 발견된 이래, 찰스마틴 홀과 폴 에루에 의한 전기분해법이 개발 양산의 길을 열었지만, 마땅히 사용할 곳이 없는 금속이었다.

그러나
세계대전이 후 구리를 대신할 은백색의 부드러움의 미려한 색상의 금속인 알루미늄이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 특히 수송분야에서는 가볍고 단단한 알루미늄 합급의 사용으로 알루미늄의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전기를 통해 만들어지는 금속으로
전기없이는 생산이 불가능한 금속으로 언제나 발전소가 뒤따라 다녔고
이는 곧 환경파괴의 주범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

현재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알루미늄의 재활용 수집과 재생산을 통한 환경파괴를 최소하면서도 가볍고 수려한 현대적 이미지를 표방하면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자동차 및 운송 적용 특성 (성질)

알루미늄 자동차 및 운송 적용 특성 (성질)

알루미늄은 다양한 차량, 구조, 하위 요소들에서 알루미늄 자동차 부문에 점차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최고 수준의 속력, 안전성, 편안함을 전달하는 동시에 에너지 효율성은 최대화하고 비용은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알루미늄 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질은 자동차 및 운송 부문에서 특별히 더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독특한 특성

차량 및 운송 적용 효과

낮은 밀도

알루미늄이 가벼워서 소재 자체를 다루기 쉽고 이로인해 차량의
연비가 좋아짐을
말합니다.

우수한 성형성

우수한 성형성 덕분에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며, 이는 디자인 다양성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외양

차량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확연히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최적의 요소입니다.

우수한 강도

알루미늄의 우수한 강도는 압력을 견디고 지지 역할과 보호 역할도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열전도성 및 전기전도성

이러한 성질은 알루미늄 다양한 특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온전한 재활용성

사용한 알루미늄 부품이 다시 새로운 알루미늄 부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운송 산업의 친환경 지수를 높여 줍니다
.

알루미늄 호일 갖추어야할 필수 조건

방어벽: 용기용 호일은 가스와 빛을 차단하여 식품이 상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완벽한 방어벽의 역할을 합니다.
성형성: 용기용 호일은 성형성이 좋고 “완전히 접을 수” 있어, 용기의 딥드로잉 가공 및 성형 시에 매우 좋습니다.
가열: 알루미늄은 뛰어난 열전도체이면서도 내열성이 있어 용기 속 음식물을 빠르고 정확하게 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오븐, 전자레인지, 그리고 브로일러 오븐까지 3가지 종류의 오븐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소재 중 하나입니다.
장식성: 용기용 호일은 진열대에서도 빛을 발하고 뛰어난 패키지 디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소재는 매우 밝고 반사성이 있으며 유색 래커링이나 프린팅이 가능합니다.
식품포장: 에이스코의 용기용 호일은 음식 포장에 대한 의무적 국제 기준을 준수합니다.
환경지속가능성: 알루미늄 호일은 매우 가볍고 효율적인 다운게이지 패키징의 개발을 통한, 자원 절약 및 친환경적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알루미늄 용기는 제품의 품질을 보존하고 식품의 낭비를 막아줍니다. 알루미늄은 품질에 대한 손상 없이 얼마든지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 호일 특성 및 용도

알루미늄 호일 특성 및 용도

호일 특성 및 용도

알루미늄호일의독특한성질은우리의일상생활에서매우유용하게활용됩니다. 요리에서냉동까지, 알루미늄호일은수십년동안각종식당과소비자들에게필수적으로사용되어왔습니다.

에이스코는식료품제조용호일가정용호일제품의제조기업들에호일소재를공급하는기업입니다. 기업용은 대형릴에감아리와인더업체에공급하고있으며가정용호일은종류가두께9-20마이크론까지있습니다. 또한 가정용 호일은 식료품 포장에 대한 규제 기준을 준수합니다.

, 냄새, 습기를완벽하게차단하여식품의조리저장시에음식을보호하는이상적입니다.
호일의성형성, 강도, 그리고완전히접히는소재성질로식품포장에매우적합합니다.
열전도율이우수하며내열성이뛰어나, 조리시의매우높은온도에도견딜있습니다.
애완동물용저장식품
사람이먹는저장식품
냉장식품
케이터링
테이크아웃포장
베이커리

 

우수한 패키징 재료로서의 알루미늄

우수한 패키징 재료로서의 알루미늄

우수한 패키징 재료로서의 알루미늄

알루미늄 패키징은 상품의 보전, 유통, 전시에 있어 매우 근본적인 역할을 합니다. 패키징이 없으면 식품은 상하고 약한 물건들은 쉽게 깨져 유통 과정은 상품의 수난사가 됩니다. 또한 전체 공급망의 효율이 엄청나게 하락합니다. 알루미늄 패키징은 그 해법 중에 하나이며 친환경적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공급시장

코일코팅, 프린팅, 라미네이팅, 알루미늄증착, 트레이용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강종

조성

성질과 특성

주요용도

409L

11Cr-Ti –(C,N)

Ti, 첨가에의한 내입계부식성 향상 및 저C, N 으로 고온, 상온에서Fully Ferrite STS강이다. 용접성, 저온인성이 우수하여 430대비 성형능이 우수함.

자동차 배기관

410L

13Cr-C

C를 저감시켜 용접성, 굴곡성, 가공성, 내고온산화성을 우수하게 한 강종임.

자동차 배기관, 보일러 연소실

430

18Cr

Cr계의대표 강종이며 가장 일반적인 강종으로
Aus
’계에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양호한 가공성,
내식성을 가지고 있지만, 심한굴곡Drawing용에는
난점이 있다
. 열처리에 의해 경화되지 않는 자성을 가짐.

자동차부품, 세탁기, 건축내장, 전기기구각종탱크

430LX, 430J1L, 430CuN

18Cr-Ti,Ti 또는 Nb- C

430 TiNb를첨가하고, C를 저하시켜 가공성, 용접성을 개량시킴.

해수TANK, 급탕용, 위생기구, 자전거 RIM

434

18Cr-1Mo

430의 개량용으로 Mo를 첨가, 430보다 염분에 대해 강함.

자동차 외장용

436L

18Cr-1Mo
-Ti, Nb, Zr-
극저(C,N)

434 C N을 저하시키고, TiI, Nb 또는 Zr을 단독 또는 복합 첨가한 강종으로 가공성용접성이 우수함.

건축외장, 차량부품, 주방용기, 급탕, 급수설비

439L

18Cr-Ti

가공성 향상, 내식성 및 용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Cr
증량, C 저감 및 Ti를 첨가한 페라이트계 STS.

자동차 배기계

443CT

21Cr-Ti-Cu

Cr함량을 21%로 높여 304와 동등한 수준의 내식성을 가진 페라이트계 STS이다. Ti, Cu의 첨가로 내입계부식성을 향상시켰으며성형성이 우수

건축내외장재, 주방기구, 자동차부품 등

444

19Cr-2MoTi, Nb, Zr –극저(C,N)

436L보다 Mo을 증가시켜 특히 내식성을 개선한 강종임.

저탕조, 저수조, 태양열온수기, 응력부식 억제용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종 내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종 내용

상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나타내는 스테인리스강 으로 열처리로도 경화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비자성이다. 합금은 Cr 크롬18%, Ni 니켈 8% 이다.

강종

대표조성

특성

용도

201

16Cr-9Mn-1Ni

301의 대체강 /  냉간가공에 의한 자성갖음.

양식기, 장식용, 파이프축내장 외장자재

202

17Cr-6.5Mn-4.5Ni

고가의 NiMn으로 대체 개발,  304 대체 저품질 제품 사용하기도 함.

양식기, 장식용
파이프
,축내
/외장자재

301

17Cr-7Ni

Cr,Ni이 표준형 304보다 낮아 가공 유기Martensite가 쉽게 생기는, 안정도가 낮은 Austenite계로 냉간 가공에 의해 인장강도와 경도가 높아짐. 소둔 상태에서는 비자성이나 냉간 가공 후 자성을 가짐.

차량부품, Belt Conveyor Bolt, Nut, 태엽, Spring

301L

17Cr-7Ni-0.1N- C

고강도 301강의 용접부 내입계 부식성을 개선한 강종으로 C감소에 의한 강도 저하를 N첨가로 강도를 확보한 강종임.

철도차량용 Frame 및 외장

302

18Cr-8Ni-0.1
C

304보다 고탄소를 함유한 강종으로 프레스 가공용. 박성형용 재료로 사용되며, C함유량이 높아 고온 가열시 304대비 내식성이 열세이고, 가공성은 301 304의 중간 정도임.

건축물 내외장

304

18Cr-8Ni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강종으로 Ni 이 함유되어 내식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 저온 강도도 가지고 있는 기계적성질이 양호한 강종으로 열처리로서는 경화되지 않고 비자성임.

식기 및 주방기기류, 배관, 온수기, 보일러,욕조, 머플러, 건축내외장, 선박용 부품

304L

18Cr-9Ni- c

304대비 저 C함유로 내식성은 비슷하나 용접후 열 영향은 입계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서 열처리없이 내식성을 보유함.

304가 입계부식에 견디지 못하는 부위 또는화학공업, 석탄공업, 석유공업 등 열처리가 곤란한 부품.

316

18Cr-12Ni-2.5Mo

해수 및 염분에 대한 내공식성 향상을 위해 2~3% Mo를 첨가한 강종으로, 고온에서 우수한
Creep
강도를 가지고 비자성을 띔.

제지, 화학, 합성수지, 비료 사진공업, 식품공업등 해안부근 건축의장

316L

18Cr-12Ni-2.5Mo- C

316강에 C함량을 감소시켜 316의 성질에 내입계성을 부여한 강종

용접후 열처리가 곤란한 제품.

321

18Cr-8Ni-Ti

304강에 Ti을 첨가하여 입계 부식을 방지한것으로 450~900℃의
입계부식 예민화 구간의 사용에 적합함
.

항공기 배관, 보일러 COVER

347

18Cr-8Ni-Nb

Nb를 사용 탄화물의 결정 입계 석출을 억제하여 용접 후 입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내열성도 높음.

321과 동일 용도

austenit

 

 

 

스테인리스강 제품 분류

스테인리스강 제품 분류

STS 분류: 400계(Fe-Cr계) 및 300계(Fe-Cr-Ni계) 두 개의 분류로 나누어짐.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연심입방구조(FCC), 열처리에 의해 경화되지 않고 가공에 의해 경화, 비자성(가공후 자성), 대표강STS304
  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체심입방구조(BCC), 쳘처리에 의해 경화되지 않음, 대표강STS430
  3. 마프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상온에서 강자성, 일반적으로 내식성은 떨어지나 강도가 우수, 오스테나이트(고온) 조직에서 공냉, 유냉에 의해서 마르텐사이트 변태에 의해 생성 대표강STS410
  4. 이상계: 상온에서 오스테나이트상과페라이트상의 혼합 조직, 강도가 우수하고 결정립 미세, 스스테라이트계의 국부부식에 대한 낮은 저항성과 페라이트계의 낮은 인성을 상호보완, 대표강STS329
  5. 석화경화계: 열처리후 시효에 의해 Cu, Al, Ti, Nb등의 금속간 화합물을 석출시켜 경도를 향상시킨 강으로 대표강STS630

 

스테인리스강 제품 분류

스테인레스 (스테인리스 – stainless) 어원

스테인레스 (스테인리스 – stainless) 어원

STINLESS STEEL 어원: STAIN(녹을 의미) + LESS(부정녹이 잘 슬지 않는 강을 뜻한다.

SUS: JIS 일본 표준 규격 명칭으로 국제적으로 일부 사용됨

STS: KS 한국 표준 규격 명칭으로 사용됨

강종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성분에 따라 나눈 기호이며사용 용도에 맞춘 수명연장과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종을 용도에 맞게 잘 선택하여야 한다.

스테인리스강 역사

스테인리스강 역사

철강(STEEL)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도장전기방식합금원소 첨가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이중 합금원소의 첨가에 의한 녹 발생 억제가 스테인리스강 개발 동기이다.

1.1820년 영국: Cr 소량 첨가 그러나 성형불량
2.1904~1909년 독일과 프랑스각각 17%와 13%의 Cr 첨가
3.1910~1915년 독일미국영국각각 오스테아니트계페라이트계마르텐사이트계3가지 유형의 스테인리스 유형 발표
4.현재안정화 스테인리스강 및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 생산

스테인리스강이 녹술지 않는 이유: Cr를 12% 이상 함유할 때 자연적으로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을 형성하여 금속 내로 산소가 침입하지 못하게 차단하여 녹이 슬기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구조

일반탄소강: Fe-oxide 층 – 피막이 두껍고 다공질이어서 외부의 산소 침투가 용이함.

스테인리스강 : Cr2 O3 층 – 피막이 얇고 치밀하여 외부의 산소 침투가 어려움

알루미늄 기계적 성질

알루미늄 기계적 성질

합금

열처리
구분

알루미늄 기계적 성질

인장강도(kg/)

항복강도(kg/)

신율(%)

1050

6이상

2이상

25이상

1100

7.5이상

2.0이상

25이상

1235

9.5이상

7.5이상

2이상

2011

T3

3~38

38이상

27이상

10이상

38~80

30이상

24이상

14이상

T8

38이상

28이상

10이상

2014

T4

T6

39이상

46이상

23이상

39이상

16이상

8이상

2017

T4

39이상

23이상

12이상

2024

T4 / T6

44이상 / 42이상

30이상 / 32이상

10이상 / 5이상

3003

9.5이상

3.5이상

25이상

3004

23이상

18이상

1이상

3005

14~23

12~21

1이상

3105

13이상

11이상

1이상

4032

T6

50이상

44이상

9이상

5005

12이상

8.5이상

1이상

5052

18~22이상

6.5이상

24이상

5083

28~36이상

11이상

14이상

5182

35이상

1이상

6061

T4 / T6

21이상 / 30이상

11이상 / 25이상

18이상 / 10이상

6063

T5 / T6

15이상 / 21이상

11이상 / 18이상

8이상 / 10이상

7075

T6

54이상

47이상

7이상

 

 

 

 

알루미늄 화학성분

알루미늄 화학성분

 알루미늄 화학성분

Cu

Si

Mg

Zn

Mn

Cr

Fe

Ti

Ni

Al

1050

0.05 이하

0.25이하

0.05이하

0.05이하

0.05이하

0.40이하

0.03이하

99.50

1100

0.05~0.20

Si+Fe1.0이하

0.10이하

0.05이하

99.00

1235

0.05

Si+Fe0.65이하

0.05이하

0.10이하

0.05이하

0.06이하

99.35

2011

5.0~6.0

0.40이하

0.30이하

0.7이하

Bi0.2~0.6

Pb0.2~0.6

잔량

2014

3.9~5.0

0.5~1.2

0.2~0.8

0.25이하

0.4~1.2

0.10이하

0.7이하

0.15이하

잔량

2017

3.5~4.5

0.8이하

0.2~0.8

0.25이하

0.4~1.0

0.10이하

0.7이하

0.15이하

잔량

2024

3.8~4.9

0.50이하

1.2~1.8

0.25이하

0.3~0.9

0.10이하

0.50이하

0.15이하

잔량

3003

0.05~0.20

0.6이하

0.10이하

1.0~1.5

0.7이하

잔량

3004

0.25이하

0.03이하

0.8~1.3

0.25이하

1.0~1.5

0.7이하

잔량

3005

0.30이하

0.6이하

0.20~0.6

0.25이하

1.0~1.5

0.10이하

0.7이하

0.10이하

잔량

3105

0.30이하

0.6이하

0.20~0.8

0.40이하

0.30~0.8

0.20이하

0.7이하

0.10이하

0.02이하

잔량

4032

0.5~1.3

11.0~13.5

0.8~1.3

0.25이하

0.10이하

1.0이하

0.5~1.3 

잔량

5005

0.20

0.30

0.50~1.1

0.25이하

0.20이하

0.10이하

0.7이하

잔량

5052

0.10이하

0.25이하

2.2~2.8

0.10이하

0.10이하

0.15~0.35

0.40이하

잔량

5083

0.10이하

0.40이하

4.0~4.9

0.25이하

0.3~1.0

0.15~0.25

0.40이하

잔량

5182

0.15이하

0.2이하

4~5

0.25이하

0.2~0.5

0.10이하

0.35이하

0.10이하

0.10이하

잔량

6061

0.15~0.4

0.4~0.8

0.8~1.2

0.25이하

0.15이하

0.04~0.35

0.7이하

잔량

6063

0.10이하

0.2~0.6

0.45~0.9

0.10이하

0.10이하

0.10이하

0.35이하

잔량

7075

1.2~2.0

0.40이하

0.45~0.8

5.1~6.1

0.20이하

0.18~0.35

0.5이하

0.20이하

0.20이하

잔량

 

알루미늄 기호 설명

알루미늄 기호 설명

대표 기호

알루미늄 기호 별 내용

H1

추가 열처리 없이 가공경화 소정의 기계적 성질을 얻음

H2

H1질별과 거의 같은 강도를 가지나, 연실율은 약간 높은 값을 갖기 위해 가공경화 후 적당하게 연화 열처리.

H3

가공경화 후 저온 가열로 안정화처리를 한 것 상온에서 천천히 시효연화하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함금 기호

 

세분 기호

알루미늄 기호 별 내용

T 1

압출재와 같이 고온가공 후 충분히 안정화 상태까지 냉각 자연시효시킴교정에도 냉간가공 효과가 작음.

T 2

고온가공 후 강도를 높이기 위해 냉각 및 냉간가공을 하고 다시 자연시효시킴

T 3

용체화처리강도를 높이기 위해 냉간가공 후 안정한 상태까지 자연시효시킴.

T 4

용체화처리 후 자연시효 시킴.

T 5

주물 또는 압출재 등의 고온가공에서 냉각 후 인공시효경화 처리함.

T 6

용체화처리 후 인공시효경화 처리함.

T 7

용체화처리특별한 성질로 조정하기 위해 최대 강도를 만들기 위해 과잉시효경화를 통한 안정화처리 시킴.

T 8

용체화처리냉간가공하고 다시 인공시효경화 처리함.

T 9

용체화처리 후 인공시효경화처리를 하고 다시 냉간가공함.

T10

고온가공에서 냉각 후 강도를 높이기 위해 냉간가공하고다시 인공시효경화 처리함.

 

 

알루미늄 합금 종류 별 특성 및 용도

알루미늄 합금 종류 별 특성 및 용도

합금

알루미늄 합금 종류 별 특성

알루미늄 합금 종류 별 용도

1050

강도는
떨어지나 전도율
,반사율이 높고, 내식성, 성형성, 용접성 우수

반사판, 장식품, 명판, 화학공업용TANK, 조명가구

1100

강도
떨어짐
,전신성, 성형성, 용접성우수,

일반용기물, 전기기구 인쇄판

1235

2011

내식성은
떨어지나 절삭성 우수

광학기기부품, 기계나 사제품

2014

내식성은 떨어지나 , 강도, 열간가공성 우수

항공기
용재
, 각종구조제품수송기 부품

2017

강도는
높고
, 기계가공성이 양호

광학기기부품, 기계나 사제품각종구조재

2024

2014보다
강도 높음
, 절삭 가공성 좋음

항공기
용재
, 각종 구조제품볼트, 너트용

3003

1100보다
강도 약간 높음

건축용재, 일반용기물, 선박용재

3004

성형성, 용접성, 내식성
우수

차량용재, 선박용재

3005

3003보다
강도높인
내식성 우수

건축용재, 칼라 알루미늄

3105

4032

Si 합금으로
고강도

피스톤, 고온 부품, 전구베이스

5005

3003
같은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내식성,  접성, 가공성 양호

차량
내장재
, 건축 내외장재

5052

중간정도 강도, 내식성특히 내해수성
우수

선박용재, 차량용재, 광학기품

5083

비열처리
합금중 최고강도 , 내해수성 양호

선박용재, 차량용재, 용접구조재

5182

5083 정도의
강도 성형성
, 내식성 양호

음료통

6061

중간정도 강도, T6인것은 연강과 비슷냉간 가공은
양호

선박용재, 차량용재, 기계부품, 각종구조재

6063

내식성 양호, 압출
가공성 양호
양극산화처리시우수함

건축재, 가구용재, 전선관, 기타Sash

7075

2024보다
높은 강도 지님

항공기
용재
, 구조재, 운동기기, 고속회전체등

 

알루미늄 성질 및 용도

알루미늄 성질 및 용도

알루미늄 성질

비중이 2.71공업용 금속 중 Mg 다음 가는 가벼운 금속으로대표적 경금속이다.

주조가 용이하고 다른 금속과 혼합 합금이 잘 되는 전성과 연성이 좋아서 박이나 철사로 만들수 있다. 성질은

순도에 따라 다르며전기의 양전도체로비저항은 구리의 약 1.6배이다.

대기중내식력이 강하여 공기중에 방치하면 산화물의 박막을 생성하여 광택을 잃지만 오히려

생겨난 산화피막이 산소를 막아 내부까지 침식되는 등의 녹이 슬지 않아 창틀이나 광택용으로 사용한다.

상온/고온 가공 모두 용이하, 공기중에서 가열하여 녹는점 가까이 가면 흰빛을 내며 연소하여 산화알루미늄이 된다. 이때 온도가 매우 높아져 이를 이용해 분말을 사용해 금속의 야금이나 용접을 한다.

알루미늄의 최대 이용 용도는 송전선이며, 그 외 포장재, 자동차의 무게와 연비를 줄이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알루미늄 성질

용도

산화피막(산화 알루미늄)

창틀이나 광택이 오래 지속되는 소재

가볍고 녹이 슬지 않으며 무독성

알루미늄 캔

열전도성

주방 용기

가볍고 내구성이 좋음

호일, 항공기, 선박, 차량의 주요 재료(연비저감 효과)

알루미늄 어원과 역사

알루미늄 어원과 역사

알루미늄 어원

라틴어 alumen(alum)에서 유래 한국어로
명반
(明礬)이라하며 당시 지혈제로 사용되던 물질이라한다.

 

알루미늄 역사

1825덴마크
화학자
한스외른스테드에 의해 최초 발견된 원소로 Si 다음가는 지각 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금속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원소 질량의 8.2%나 차지할 만큼 다량이다.

1825년 처음 발견된 이래, 찰스마틴 홀과 폴 에루에 의한 전기분해법이 개발 양산의 길을 열었지만, 마땅히 사용할 곳이 없는 금속이었다.

그러나
세계대전이 후 구리를 대신할 은백색의 부드러움의 미려한 색상의 금속인 알루미늄이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 특히 수송분야에서는 가볍고 단단한 알루미늄 합급의 사용으로 알루미늄의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알루미늄은 전기를 통해 만들어지는 금속으로
전기없이는 생산이 불가능한 금속으로 언제나 발전소가 뒤따라 다녔고
이는 곧 환경파괴의 주범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

현재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알루미늄의 재활용 수집과 재생산을 통한 환경파괴를 최소하면서도 가볍고 수려한 현대적 이미지를 표방하면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